칼럼 > 연재종료 > 정이현의 남자 남자 남자
인생, 아무도 끝을 모르는 오래달리기
<포레스트 검프>의 포레스트(톰 행크스)
마라톤과 구별되는 오래달리기의 세계, 포레스트 검프의 세계에는 기록이 없다. 골인점이 없으니 당연하다. 남을 이길 필요는 전혀 없고, 반드시 자신을 이겨야 하는 것도 아니다. 달리다 힘겨우면 걸어도 되고, 걷다 힘들면 멈춰도 되고, 길 위에 벌러덩 드러누워도 된다. 달리다 말고 버스 정류장이 나오면 벤치에 앉아 모르는 사람과 수다를 떨며 초콜릿을 나눠 먹으면서 버스를 기다리면 되고, 버스가 오면 냉큼 올라타 이웃 도시로 가면 되는 거다.
어떤 말들은, 아주 오래되었고 그래서 지당하기 그지없는 것처럼 들린다. 가령, ‘인생은 마라톤이다’ 같은 격언이 그렇다. 고백하자면, 힘들었을 때 그 말이 큰 위로가 됐다. 그 말 덕분에 나는 지금 30km 지점, 가장 힘들다는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를 지나고 있을 뿐이라고, 이제 곧 내리막길이 나오고 결승점이 보일 거라고 스스로를 다독일 수 있었다. 물론 아무리 달려도 결승점 같은 것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지만 그것을 깨달았을 땐 이미 얼마큼의 시간이 흘러, 고통의 정점으로부터 조금은 멀어진 상태였다. 힘들 때 도와준 대상에겐 원래 더 각별히 고마운 법. 인생이 마라톤이라면 왜 결승점이 나타나지 않는 거냐고, 내가 지나온 게 러너스 하이가 맞기는 한 거냐고 따지기엔 ‘인생은 마라톤이다’라는 경구에 빚을 진 기분이었다.
며칠 전 우연히, 일본에서 제작된 CF 한 편을 봤다. 화면은 마라톤 대회의 스타트라인을 비추는 데에서 시작한다. 수천 명의 마라토너들이 출발점에 서 있다. 이윽고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바삐 달려 나가는 발과 발들. 그 위로 한 남성의 내레이션이 흘러나온다.
그 목소리에 화답이라도 하듯 수천 명의 마라토너들은 땀을 뻘뻘 흘리며 레인 없는 레인 위를 열심히 달려간다. 끝을 향해, 어딘가 있을 목적지를 향해. 성우가 말한다.
‘누구라도 달리기 선수다. 시계는 멈출 수 없다. 시간은 한 방향으로밖에 흐르지 않는다. 되돌아올 수 없는 마라톤 코스. 라이벌과 경쟁해가며 시간의 흐름이라는 하나의 길을 우리는 계속 달린다.’
하마터면, 그래 나도 알아, 라고 중얼거릴 뻔 했다. 그런데, 잠깐의 암전 뒤에 예기치 못한 반전이 기다리고 있을 줄이야. 앞사람을 따라 열심히 달리다 말고 천천히 멈추어 서는 한 남자, 헉헉대는 숨을 고르다가 돌연 카메라를 바라본다. 그때 화면과 겹쳐지는 목소리는 이렇다.
‘인생은 마라톤이다.’
같은 방향을 향해 가던 마라토너들이 제각각 코스를 이탈하여 제멋대로의 방향으로 뛰기 시작한다. 아니다. 뛴다기보다, 달린다기보다, 마치 그들은 도망치는 것 같다. 이 세상 밖으로. 각자의 모든 방향들로. 뒤통수를 후려 맞은 기분이 들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나는 꼼짝도 하지 않고 그것을 들여다보았다. 광고는 이런 의문문으로 끝이 났다.
‘인생이란 그런 것인가? 아니야. 인생은 마라톤이 아니야! 누가 정한 코스야? 누가 정한 결승점이야? (……) 실패해도 좋아. 돌아가도 좋아. (……) 길은 하나가 아니야. 그건 인간의 수만큼 있는 거야.’
그러고 보니, 나 역시 ‘잘 뛰는’ 남자를 하나 알고 있다.
‘모든 인생은 훌륭하다. 누가 인생을 마라톤이라고 했나?’
1972년 서울 출생으로 단편 「낭만적 사랑과 사회」로 2002년 제1회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나왔다. 이후 단편 「타인의 고독」으로 제5회 이효석문학상(2004)을, 단편 「삼풍백화점」으로 제51회 현대문학상(2006)을 수상했다. 작품집으로 『낭만적 사랑과 사회』『타인의 고독』(수상작품집) 『삼풍백화점』(수상작품집) 『달콤한 나의 도시』『오늘의 거짓말』『풍선』『작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