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살 더 먹는다

‘나이답게’는 됐다. 나답게 살 수 있기를.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때가 되면, 특히 한 해의 끝과 시작에는, 사라진 것들을 놓쳤음에 아쉬워했고 그림자라도 보인다 싶으면 다시 잡아보려 애썼다. 그랬던 것이 이제는 자연스럽게 오늘에 더 집중하는 삶으로 옮겨가고 있다. (2019. 01. 18)

핀란드 수오멘린나.jpg

                           핀란드 수오멘린나. 이만큼의 햇살과 바람, 때로는 하늘과 바다, 쉬어갈 그늘이면 그것으로 좋겠다.

 

 

한 살 더 먹었다. 완료형이나 과거형으로 받아들이면 되는데 수동형으로 읽게 된다. 앞에 아- 하는 탄식을 붙이면 당했다는 느낌은 배가 된다. 떡국에 부록처럼 딸려오는 숫자 하나가 참 싫었던 것은 어쩌면 이런 기분 탓은 아니었을까? 스물 넷에도 일곱에도 아홉에도 그 형태나 크기만 다를 뿐 늘 걱정과 불안과 짜증과 한숨이 그 시간 어딘가에 찰싹 붙어있었다. 그리고 그것은 다시 영을 지나 하나 둘 셋이 되면서 ‘뭐 생각보다 별 거 없네.’가 되었으며, 걱정과 불안과 짜증과 한숨의 자리는 이내 안주 나태 반복 핑계 같은 것들이 물려받았다. 시간은 더 빠르게 흘렀다.

 

안주의 날들은 어땠더라. 일을 열심히 했다. 일만 열심히 했다. 어쨌든 무언가를 열심히 한다는 것은 칭찬받아 마땅한 일이다. 특수한 몇몇 상황들을 제외하고는 아마 아주 높은 확률로 그럴 것이다. 그런데 ‘열심’이라는 말이 영 개운치 않은 거다. 자신에게는 그 ‘뜨거운 마음’을 나눠주지 못했으니까. 그렇게 그냥 존재하는 나에게 안주했다. 돌아보니 과연 그렇다. 열심도 정도껏이다. 정도껏이라야 숨을 쉬고 숨을 쉬어야 다음이 있다.


그리고 시 한 편을 손에 쥐었다. 아마 그때가 안주의 날들이 끝나갈 무렵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오랫동안 깊이 생각함

 

이제는 아주 작은 바람만을 남겨둘 것
흐르는 물에 징검돌을 놓고 건너올 사람을 기다릴 것


여름 자두를 따서 돌아오다 늦게 돌아오는 새를 기다릴 것
꽉 끼고 있던 깍지를 풀 것


너의 가는 팔목에 꽃팔찌의 시간을 채워줄 것
구름수레에 실려가듯 계절을 갈 것


저 풀밭의 여치에게도 눈물을 보태는 일이 없을 것
누구를 앞서겠다는 생각을 반절 접어둘 것
-문태준,  『먼 곳』


머릿속에 이리저리 그어 놓은 선들이 마침내 제자리를 찾은 기분이었다. 내 마음을 꿰뚫어본 시인에게 감탄하며 차분히, 하지만 감출 수는 없으니 별수 없이 호들갑스럽게 시어 하나하나를 꼭꼭 곱씹어 외우고 찍어 휴대폰 배경화면에도 넣고 한참을 쥐고 다녔다. 호들갑이었던 것을 보니 그때쯤 안주의 시간을 벗어난 것이리라 그저 짐작할 뿐이긴 하나, 분명한 것은 이 한 편의 시가 초콜릿처럼 꺼내 먹는 노래처럼 늘 손 닿는 곳에 있어준 덕분에 많은 순간들을 견뎠다. 시를 절실하게 붙들고 또 한 계절을 건넜다.
 
나의 시간은 이제 크립톤(Kr)과 루비듐(Rb) 사이 어딘가를 지나는 중이다. 올리버 색스가 여든 살 생일을 며칠 앞두고 쓴, 80번 원소 수은의 이름을 딴 글 「수은」을 읽고는 원소들의 번호를 찾아보았다. 나는 어디쯤 와있는 걸까? 크립톤의 원소명 어원은 그리스어 kryptos. ‘숨겨진 것’이라는 뜻을 가졌다고 한다. 맛, 색, 냄새가 없는 원소다. 루비듐은 ‘진한 붉은색’을 뜻하는 라틴어 rubidus에서 시작한 이름이다. 좋을 대로 하는 아무 말이지만, 무색 무취 무미의 포장에 가려 보이지 않던 것들이 하나 둘 모습을 드러낸다. 빛깔이 선명해지고 있다.

 

오늘의 색이 유독 그렇다. 오늘이 중요하다고 누가 어떻게 말해도 더 신경 쓰이는 것은 내일이었다. 준비와 대비의 연속이었다. 일부는 쓸모를 찾았고 몇몇은 여전히 준비의 이름으로 거기 남았고 상당수는 어딘가로 사라졌다. 때가 되면, 특히 한 해의 끝과 시작에는, 사라진 것들을 놓쳤음에 아쉬워했고 그림자라도 보인다 싶으면 다시 잡아보려 애썼다. 그랬던 것이 이제는 자연스럽게 오늘에 더 집중하는 삶으로 옮겨가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삶이 유한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부터는 그다지 많은 것을 원하지 않는다. 돈을 더 바라지도, 권력을 더 바라지도 않는다. 그저 가능한 한 이 세상에서 자신만의 삶의 이야기를 쓸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일상의 소소한 일들에 대해 직접 선택을 하고, 자신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른 사람이나 세상과의 연결고리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것이다.
-아툴 가완디,  『어떻게 죽을 것인가』  227쪽

 

물론 나는 아직 대단한 뭔가를 깨달은 것은 아니다. 아닌 것 같다. 다만 온전히 내 삶을 살 수 있기를 전보다 더 강하게 바라게 됐다. 이런 저런 ‘피치 못할’ 사정이나 사람에 휘둘리지 않고 내 사람들과 함께 건강하게 매일을 꾸려갈 방법을 더 진지하게 고민하게 됐다. 달라질 오늘과 또 다른 오늘들을 기대하고 있다. ‘나이답게’는 됐다. 나답게 살 수 있기를. 한 살 더 먹는다. 기꺼이.

 

 

 


 

 

어떻게 죽을 것인가아툴 가완디 저/김희정 역 | 부키
결국 죽을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인정하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 한계를 인정할 때 비로소 인간다운 마무리를 준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박형욱(도서 PD)

책을 읽고 고르고 사고 팝니다. 아직은 ‘역시’ 보다는 ‘정말?’을 많이 듣고 싶은데 이번 생에는 글렀습니다. 그것대로의 좋은 점을 찾으며 삽니다.

ebook

<아툴 가완디> 저/<김희정> 역11,550원(0% + 5%)

세계적인 사상가 아툴 가완디, 죽음 앞에 선 인간의 존엄과 의학의 한계를 고백하다 오늘날 선진국에서는 인구 구조의 직사각형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현재 50세 인구와 5세 인구가 비슷하며, 30년 후에는 80세 이상 인구와 5세 이하 인구가 맞먹을 전망이다. 한국에서도 급속한 노령화가 진행되..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AI, 전혀 다른 세상의 시작일까

유발 하라리의 신작. 호모 사피엔스를 있게 한 원동력으로 '허구'를 꼽은 저자의 관점이 이번 책에서도 이어진다. 정보란 진실의 문제라기보다 연결과 관련 있다고 보는 그는 생성형 AI로 상징되는 새로운 정보 기술이 초래할 영향을 분석했다.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다.

한국 문학의 지평을 더욱 넓혀 줄 이야기

등단 후 10년 이상 활동한 작가들이 1년간 발표한 단편소설 중 가장 독보적인 작품을 뽑아 선보이는 김승옥문학상. 2024년에는 조경란 작가의 「그들」을 포함한 총 일곱 편의 작품을 실었다.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이름들과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한 권에 모두 담겨 있다.

주목받는 수익형 콘텐츠의 비밀

소셜 마케팅 전문가 게리 바이너척의 최신작. SNS 마케팅이 필수인 시대, 소셜 플랫폼의 진화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6단계 마케팅 전략을 소개한다. 광고를 하지 않아도, 팔로워 수가 적어도 당신의 콘텐츠는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다.

삶의 끝자락에서 발견한 생의 의미

서른둘 젊은 호스피스 간호사의 에세이. 환자들의 마지막 여정을 함께하며 겪고 느낀 경험을 전한다. 죽음을 앞둔 이들과 나눈 이야기는 지금 이순간 우리가 간직하고 살아야 할 마음은 무엇일지 되묻게 한다. 기꺼이 놓아주는 것의 의미, 사랑을 통해 생의 마지막을 돕는 진정한 치유의 기록을 담은 책.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