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이 뭐예요?

마음과 정성을 다해 불러보는 이름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나 임신했어, 라는 말을 할 때는 매번 쑥스럽고 입에 붙지 않았는데 태명이 축복이에요, 라는 말은 훨씬 자연스럽게 나왔다. 나에게 복이 되는 아이가 아니라 살면서 행복하다고 느끼는 아이였으면 싶었다.

한몸의시간.jpg


밤에 누워서 아아, 앞으로 내 인생은 어떻게 되는 걸까, 알 수가 없네. 걱정 반 기대 반의 심정으로 중얼거리면 옆 사람은 아아, 너는 책을 네 권이나 냈지만 나는 겨우 한 권밖에 안 낸 신인이라네, 하며 화답했다. 그러면 우리는 미리 짜놓은 것처럼 아아, 문학은 죽어가고 우리는 늙었고 입은 하나 더 늘어난다네, 하고 입을 모았고 마지막은 오늘도 태명은 짓지 못했다네, 로 마무리되었다.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사람들은 몸이 어떤가를 챙긴 뒤 태명은 지었어? 태명이 뭐야? 하고 물었다. 그러면 나는 아직 생각 중이라고 얼버무렸다. 어릴 적에 장난감이나 인형이 생길 때마다 열심히 이름을 지어주던 사람으로 초음파 사진을 받은 순간부터 태명에 대해 고민했지만 정하지 못했다. 뱃속에 있는 동안에만 쓰고 사라질 이름이라는 점에서 부담이 적었지만 그래서 더 의미 있는 이름을 지어야 할 것 같았다. 카페에도 태명을 골라주세요, 라는 게시글이 종종 올라왔다. 튼튼이, 힘찬이, 꼬물이, 콩이, 봄이, 통통이, 새싹이…… 귀엽고 예쁜 태명이 아주 많았다. 나도 나름대로 수첩에 후보들을 메모해두었지만 너무 팬시해서 내 것 같지 않았다. 


그때 누군가 했던 말이 떠올랐다. 늦은 나이에 엄마가 되는 걸 보면 네가 참 복이 많다. 나는 좀 어리둥절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런 말을 했다.  


“그 나이에 복 받은 거야. 요즘 아기 문제로 마음 고생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태명 축복이는 그렇게 지어졌다. 너무 큰 이름인가 싶었지만 요란하지 않아 좋았다. 


나 임신했어, 라는 말을 할 때는 매번 쑥스럽고 입에 붙지 않았는데 태명이 축복이에요, 라는 말은 훨씬 자연스럽게 나왔다. 나에게 복이 되는 아이가 아니라 살면서 행복하다고 느끼는 아이였으면 싶었다. 가끔은 ‘축복’이라고 지어놓고 ‘걱정’이라고 부르고 있는 게 아닌가 싶어 미안했지만.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서유미(소설가)

2007년 문학수첩 작가상을 받으며 등단. 같은 해 창비 장편소설상을 탔다. 장편소설 『판타스틱 개미지옥』 『쿨하게 한걸음』 『당신의 몬스터』를 썼고 소설집으로 『당분간 인간』이 있다. 에세이 『소울 푸드』에 참여했다."

오늘의 책

끝나지 않는 오월을 향한 간절한 노래

[2024 노벨문학상 수상] 1980년 5월 18일부터 열흘 간의 광주, 그리고 그 이후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작가의 철저한 노력으로 담아낸 역작. 열다섯 살 소년 동호의 죽음을 중심으로 그 당시 고통받았지만, 역사에서 기록되지 않은 인물들의 이야기를 꺼내 보이면서 그 시대를 증언한다.

고통 속에서도 타오르는, 어떤 사랑에 대하여

[2024 노벨문학상 수상] 2023 프랑스 메디치 외국문학상 수상작이자 가장 최근작. 말해지지 않는 지난 시간들이 수십 년을 건너 한 외딴집에서 되살아난다. 깊은 어둠 속에서도 “지극한 사랑”이 불꽃처럼 뜨겁게 피어오른다. 작가의 바람처럼 이 작품은 “지극한 사랑에 대한 소설”이다.

전세계가 주목한 한강의 대표작

[2024 노벨문학상 수상] 2016년 인터내셔널 부커상을 수상한 장편소설이자 한강 소설가의 대표작. 보이지 않는 영혼의 고통을 식물적 상상력으로 표현해낸 섬세한 문장과 파격적인 내용이 큰 울림을 만들어낸다. 폭력의 악순환을 끊고,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나무가 되고자 한 여성의 이야기.

더럽혀지지 않는 어떤 흰 것에 관한 이야기

[2024 노벨문학상 수상] 한강 소설가의 아름답고 고요한 문체가 돋보이는, 한 편의 시와 같은 작품.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물고, 그 사이를 넘나드는 소설이다. ‘흰’이라는 한 글자에서 시작한 소설은 모든 애도의 시간을 문장들로 표현해냈다. 한강만이 표현할 수 있는 깊은 사유가 돋보인다.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