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불후의 칼럼 > 내 인생의 클래식 101
아사 직전의 유태인 피아니스트, 독일군 장교 앞에서 쇼팽곡 연주
쇼팽, 4개의 발라드(Ballades) 폴란드의 민족적이고 애국적인 열정을 형상화 절망 속에서 희망을 연주하다
쇼팽의 ‘발라드’, 그중에서도 1번을 들으면서 로만 폴란스키의 영화 ‘피아니스트’(The Pianist, 2002)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명배우 애드리언 브로디가 주연했던 이 영화는 독일 나치가 폴란드를 점령했던 시절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요. 블라디슬로프 스필만이라는 실존 피아니스트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쇼팽의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발라드 1번이 연주되는 부분은 잊을 수 없는 명장면입니다.
2주 전에 쇼팽의 ‘녹턴’을 들었습니다. 오늘은 ‘발라드’입니다. 쇼팽은 모두 4곡의 ‘발라드’를 남겼습니다. 1831년부터 1842년까지, 그러니까 스물한 살부터 서른두 살 때까지입니다. 창작력이 가장 왕성했을 뿐 아니라 프랑스 파리에서 청년 음악가로 승승장구하던 시절에 작곡된 곡들입니다. 저는 2주 전에 “녹턴은 시적이고 영상적인 반면에 발라드는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썼습니다. “녹턴은 시적이고 발라드는 서사적”이라고도 했습니다. 오늘은 바로 그 지점에서부터 ‘발라드’에 대한 얘기를 풀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발라드’(ballade)라는 말은 오늘날 대중음악에서도 흔히 쓰입니다. 리듬보다는 선율과 가사를 더 중시하는, 템포가 좀 느린 러브송을 ‘발라드’라고 얘기하지요. 음악적으로 적확한 개념이라기보다는 ‘댄스음악’과 대비되는 표현으로 흔히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오늘까지도 일상적으로 쓰이는 이 ‘발라드’라는 말은 언제 처음 생겼을까요? 사실 이 용어의 기원은 아주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발라드’라는 말이 처음 등장한 것은 중세 시대였지요. 12세기에 프랑스 남부지방에서 불리던 음유시인들의 노래에 ‘발라드’라는 명칭이 붙기 시작했습니다. 유절형식(有節形式), 그러니까 1절, 2절, 3절 식으로 노랫말이 여러 개의 절을 이루고 ‘르프랭’(refrain)이라는 후렴구로 각각의 절을 연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부르는 노래와도 아주 흡사하지요.
발라드는 교회나 궁정의 음악이 아니라 민중이 즐겼던 ‘세속음악’이었습니다. 따라서 두가지 요소가 중요했습니다. 하나는 사람들이 아무 곳에서나 덩실덩실 ‘춤’을 출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었고, 또 하나는 흥미를 끌 만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었지요. 물론 중세 사람들이 발라드에 맞춰 추던 춤은 요즘처럼 템포가 빠른 춤은 아니었겠지요. 아울러 발라드 속에는 당대의 민중이 재미를 느낄 법한 다양한 이야기들이 들어 있었습니다. 어떤 이야기들이었을까요? 전설이나 신화, 민담 같은 것들이었겠지요. 또 빠질 수 없는 것이 남녀상열지사였을 겁니다. 예컨대 마님과 마당쇠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야기 같은 것들이었겠지요. 프랑스 남부에서 발생한 발라드는 영국과 이탈리아, 독일 등지로 점차 퍼져갑니다. 그 과정에서 ‘이야기’가 한층 강화되고 춤은 점점 소멸합니다. 그래서 결국 ‘발라드’는 어떤 이야기를 담은 시, 즉 담시(譚詩)라는 의미로 굳어집니다. 중세 이탈리아의 단테, 독일 낭만주의 시대에 이르면 괴테나 실러 같은 이들이 ‘발라드’를 썼습니다. 그러니까 음유시인들의 노래에서 출발한 발라드는 ‘이야기가 담긴 시’로 이어졌던 셈입니다.
독일군이 점령한 페허의 바르샤바. 아사(餓死) 직전의 스필만은 폭격당한 빈집으로 숨어들지요. 구정물과 감자 두 개로 간신히 죽음을 벗어난 그는 도둑고양이처럼 주방을 뒤지다가 통조림 깡통을 찾아냅니다. 벽난로 옆에 놓여있던 부삽으로 깡통을 따려고 안간힘을 쓰지요. 그러다가 깡통이 데구르르 굴러갑니다. 그 자리, 깡통이 멈춘 자리에 한 남자가 우두커니 서 있습니다. 독일군 장교 호젠펠트였지요. “여기서 뭘 하나?” 장교가 묻습니다. “깡통을 따려고…” 스필만은 죽어들어가는 목소리로 대답하지요. “무슨 일을 하나?” 교사 출신의 장교가 다시 묻습니다. “저는…” 머뭇거리던 스필만은 “피아니스트였습니다”라고 ‘과거형’으로 답하지요. 물끄러미 스필만을 바라보던 장교가 한숨을 푹 내쉽니다. 한겨울입니다. 스필만은 낡은 피아노 앞에 앉습니다. 호젠펠트가 “연주해봐”라고 말합니다. 굶주림에 두 눈이 퀭한 스필만은 곱은 손가락으로 ‘발라드 1번 g단조’를 연주하지요. 4분의4박자 느린 라르고를 힘겹게 짚어나가던 손가락이 점차 빨라집니다. 그러다가 마침내 클라이막스. 오른손의 화려한 아르페지오가 폭발하면서, 스필만은 억눌려왔던 음악가의 열정을 결국 터뜨리고 말지요. 그 다음날부터 호젠펠트는 스필만의 다락방으로 몰래 음식을 나릅니다. 러시아군에 밀려 철수하기 직전, 그는 ‘마지막 빵’을 스필만에게 건네며 외투까지 벗어주지요. “전쟁 끝나면 뭘 할거야?” “연주를 해야죠.” “이름은?” “스필만” “피아니스트다운 이름이네.” | ||
관련태그: 쇼팽, 발라드, 피아니스트, 스필만, 로만 폴란스키
1961년 강원도 묵호에서 태어났다. 까까머리 중학생 시절에 소위 ‘클래식’이라고 부르는 서양음악을 처음 접했다. 청년시절에는 음악을 멀리 한 적도 있다. 서양음악의 쳇바퀴가 어딘지 모르게 답답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서구 부르주아 예술에 탐닉한다는 주변의 빈정거림도 한몫을 했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부터 음악에 대한 불필요한 부담을 다소나마 털어버렸고, 클래식은 물론이고 재즈에도 한동안 빠졌다. 하지만 몸도 마음도 중년으로 접어들면서 재즈에 대한 애호는 점차 사라졌다. 특히 좋아하는 장르는 대편성의 관현악이거나 피아노 독주다. 약간 극과 극의 취향이다. 경향신문에서 문화부장을 두차례 지냈고, 지금은 다시 취재 현장으로 돌아와 음악담당 선임기자로 일하고 있다.
2013년 2월 철학적 클래식 읽기의 세계로 초대하는 <아다지오 소스테누토>를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