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잉 넛, 한국 펑크의 산파
‘닥쳐! 닥쳐! 닥쳐! 닥쳐! 닥치고 내말들어. 우리는 달려야해 거짓에 싸워야해 말달리자!’
그들의 ‘분노’와 ‘웃음’은 그렇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풍자였고 해학이었다. 아마도 그들이 항상 노발대발하기만 했다면, 늘 심각했다면, 다시 말해 펑크 원론에만 헌신했다면 결코 대중의 시선을 당기지 못했을 것이다. 꽤나 엄숙한 펑크 담론을 그들 식의 사소한 일상의 스토리로 바꾸면서 거둔 의미 있는 성과였다. 그렇지 않았다면 사람들이 「말달리자」에 마구 고함을 질러대고 마냥 흔들어대며 흥겨움을 만끽할리는 없었을 것이다. 그들과 함께 펑크에 대한 어색함은 사라졌다.
1990년대 말,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하던 인디 뮤지션들이 점차 더 많은 대중들 앞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펑크 록 밴드 크라잉 넛은 그러한 흐름의 효시였다고도 할 수 있죠. 한국 펑크의 상징적인 곡으로 꼽히는 ‘말달리자’를 들고 나타난 이들의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줬습니다. 이번 주에 소개해드릴 명반은 크라잉 넛의 첫 번째 앨범, <말달리자>입니다.
크라잉 넛 <말달리자> 1998
지금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1990년대 중후반부터 국내 음악계에는 인디라는 이름의 비주류 흐름이 잉태되어, 새것을 갈망하는 음악 팬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서울의 홍대와 신촌을 중심으로 발아한 인디 신의 초기 음악 스타일은 펑크(punk)란 이름의 서구 록이었다. 그 무렵 한 인디관계자는 “마치 하루에 서너 개 펑크 밴드들이 결성되는 듯한 느낌”이라며 의아해했다. 크라잉 넛의 이 앨범에도 「펑크 걸」이란 제목이 한 자리를 차지한다.
1976년생 동갑내기이자 초등학교 동창인 이상혁, 이상면, 한경록, 박윤식(아코디언을 연주하는 김인수는 아직 정식 멤버가 아니었다)으로 이뤄진 그룹 크라잉 넛은 ‘신종 수입품’인 펑크가 과연 어떤 음악인지, 또 어떻게 가공해야 국산화될 수 있는 건지를 일반에게 알려준 존재였다. 펑크의 메카가 된 홍대의 작은 클럽 <드럭>에서 1996년부터 내공을 다진 뒤 옴니버스 앨범인 <아워 네이션 1집>에 「말달리자」 「펑크 걸」로 참여해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이들은 마침내 1998년 첫 독집 앨범을 내고 거친 펑크폭풍을 주도하게 된다.
당시 미국 음악계에서 그린 데이(Green Day), 오프스프링(Offspring), 랜시드(Rancid) 등 펑크 록이 인기차트를 석권하자, 미국 음악흐름에 유달리 민감한 국내에서도 그 생소하고 괴상한 음악에 대한 관심이 일기 시작했다. 종이 매체에서는 펑크에 대한 소개와 분석에 열을 올렸고 유행에 재빠른 여성지에선 벌써 펑크 패션이 특집으로 게재되고 있었다. 음악 쪽에서는 ‘어떤 밴드가’ ‘어떤 곡으로’ 펑크의 한국 상륙에 방점을 찍을 것인가가 물밑 관심사로 등장했다. 어찌되었든 시작자의 프리미엄이 대단할 것이기 때문이었다.
관련태그: 크라잉 넛, 말달리자, 펑크, 서커스 매직 유랑단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