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 놀이터

고기 거부하고 채식만 하는 사자

동물끼리는 서로 잡아먹는데, 왜 인간은 동물을 먹으면 안 되나요? 채식하는 사자가 사는 목장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동물들이 서로를 잡아먹으니 인간 역시 동물을 먹어도 된다는 말은 인간도 동물의 하나라고 보는 입장이다. 맞는 말이다. 인간도 동물의 하나이다. 그리고 동물끼리 서로 잡아먹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면 인간이 동물을 먹는 일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바로 이런 방식으로, 인간이 고기를 먹는 것은 자연스러운 전통이므로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정말로 인간이 고기를 먹는 것은 자연스러운가? 나아가 자연스러운 일이니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안 될까?

채식주의자들이 흔히 받는 질문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동물끼리는 서로 잡아먹는데, 왜 인간은 동물을 먹으면 안 되나요?” 이 질문에 대해 살펴보자.

서울시립대학교 차건희 교수는 ‘동물 윤리’라는 말에 대해서 윤리의 ‘윤倫’ 자에 사람 ‘인人’이 들어 있으니 윤리는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것 아닌가라는 말을 했다. 의미 있는 해석이다. 그러나 나는 윤리를 축자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해도, ‘인’은 윤리의 주체를 말하는 것이지 대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서 ‘사람에게만’ 적용되기 때문이 아니라 ‘사람만이’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윤리에 ‘인’ 자를 썼다고 생각한다. 윤리는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것이지만, 그 대상은 사람일 수도 동물일 수도 있으며 자연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동물은 윤리를 가질 수 없다.

오랫동안 채식주의자로 지내왔던 벤저민 프랭클린은 어느 날 스스로 위와 같은 질문을 던지고는 고기를 다시 먹기 시작했다고 한다. 친구들이 낚시하는 것을 구경하는데, 낚시에 잡힌 물고기의 뱃속에 또 다른 물고기가 들어 있는 것을 보면서부터라고 한다. 예전에 어떤 구충제 광고에서는 구충제 한 알만으로 회충, 요충, 십이지장충까지 모두 박멸한다는 뜻으로, 가장 큰 물고기가 다른 물고기를 삼키고 그 물고기가 다시 작은 물고기를 삼킨 채 낚시에 걸려 올라오는 그림을 보여준 적이 있다. 바로 이런 식이다. 동물들도 서로를 잡아먹는데, 나는 왜 고기를 먹으면 안 되느냐고 생각한 것이다.

윤리란 우리가 할 수 있는 능력 안에서만 우리에게 의무를 부여하는 것이다. 우리가 고기를 먹지 않으면 죽는다는 것이 확실하다면 고기를 먹지 말라고 주장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그러나 우리는 고기를 먹지 않아도 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잘 살 수 있기까지 하다. 반면 동물에게는 채식의 의무를 부여할 수 없다. 호랑이나 늑대는 고기를 먹지 않으면 굶어죽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육식동물은 선택이 불가능하지만 인간은 충분히 그런 선택을 할 수 있다. 인간은 동물과 달리 반성적인 활동을 할 수 있고, 그것이 바로 윤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물들이 고기를 먹는다고 해서 우리도 먹을 수 있다는 주장은 올바른 추론이 아니다.

1950년대에 미국의 한 목장에 채식을 하는 사자가 있었다고 한다. 이 사자는 고기를 거부하고 채식만 했다는데 덕분에 다른 동물들과 ‘평화롭게’ 지냈다고 한다. 이 사자의 이야기는 『채식하는 사자 리틀타이크』라는 책에 기록되어 있다. “늑대가 새끼 양과 함께 살고 표범이 새끼 염소와 함께 지내리라. 송아지가 새끼 사자와 더불어 살쪄 가고 어린아이가 그들을 몰고 다니리라.”(이사야 11:6)라는 성경의 이야기가 실제로 구현된 것이다. 이 이야기가 사실이라 할지라도 리틀타이크는 돌연변이일 뿐 인간처럼 윤리적인 반성에 의해 채식을 선택한 것이 아니다. 고기를 먹을 수 있는데도 안먹은 것이 아니라는 얘기다. 그러니 다른 사자에게도 리틀타이크처럼 고기를 먹지 말라고 강요할 수 없다.


채식하는 사자 리틀타이크

동물들도 서로를 잡아먹으니 인간 역시 동물을 먹어도 된다는 주장은 이중적인 기준을 가진 논리이기도 하다. 한편으로는 인간이 동물보다 우월하기 때문에 동물을 잡아먹어도 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도 동물의 하나라고 주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왜 지금까지는 인간이 동물보다 우월하다고 말하다가 이제 와서는 동물과 같다거나 동물에게 배워야 한다고 말하는가? 이런 이중적 기준은 흔히 볼 수 있다. 욕을 할 때는 ‘짐승 같은 놈’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왜 동물한테 배우려고 할까? 개는 길거리 아무데서나 똥을 누고 흘레를 붙는데 왜 그런 것은 보고 배우지 않을까? 인간과 동물을 일관되게 취급하지 않고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 취하기 때문이다.

동물은 윤리 또는 도덕을 배우고 지킬 능력이 없다. 그러므로 동물에게는 윤리적이니 아니니 하는 말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우리 조상들은 수달이 도덕을 아는 동물이라고 생각했다. 수달은 물고기를 잡으면 바위 위에 가지런히 늘어놓는 습성이 있는데, 그 모습이 마치 제사를 지내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이런 얘기를 지어낸 것은 미물도 예의범절을 안다고 가르치려는 목적 때문이다. 사실인즉 수달은 조심성이 많아 물고기의 생사 여부를 확인하려고 그러는 것이란다.

동물들이 서로를 잡아먹으니 인간 역시 동물을 먹어도 된다는 말은 인간도 동물의 하나라고 보는 입장이다. 맞는 말이다. 인간도 동물의 하나이다. 그리고 동물끼리 서로 잡아먹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면 인간이 동물을 먹는 일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바로 이런 방식으로, 인간이 고기를 먹는 것은 자연스러운 전통이므로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정말로 인간이 고기를 먹는 것은 자연스러운가? 나아가 자연스러운 일이니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안 될까?

일단 인간이 고기를 먹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할 때의 ‘자연스럽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 ‘자연스럽다’라는 말은 전통이라는 뜻으로도 쓰이고 자연의 이치에 맞는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먼저, 전통적으로 해온 일이니 윤리적으로 옳다는 말은 절대로 납득할 수 없는 논리이다. 같은 인간을 노예로 삼거나 여자는 집에서 살림이나 해야 한다는 것이야말로 인간의 오랜 전통 아니었던가? 아프리카에서는 여성의 음핵을 제거하는 관습이 있고, 인도에서는 남편이 죽었을 때 화장하는 불길에 아내가 같이 뛰어들어 죽는 관습도 있다. 이런 악습을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옹호할 수 있는가? 아무리 오래되고 널리 퍼져 있는 전통이라 해도 옳지 않다면 바꾸어야 한다. 전통이라는 명목으로 옳고 그름도 따지지 않고 옹호하는 것은 윤리적이지 못하다. 개고기를 먹는 것은 우리의 오랜 전통이니 옳다고 주장하는 것도 올바른 논증이라 할 수 없다. 여기서 개고기를 먹는 것이 옳지 않다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주장의 근거로 전통을 거론 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멜라니 조이Melanie Joy『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에서 착취 시스템을 정당화하는 모든 생각에는 3N의 사고가 깔려 있다고 한다. 즉 정상적이고normal, 자연스러우며natural, 필요하기necessary 때문에 정당하다고 주장한다는 것이다. 흑인을 노예로 삼는 것, 나치의 유대인 학살, 한때 여성에게 투표권을 주지 않은 것 등이 모두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우며 필요하다는 이유로 옹호되었다.


1950년 미국 버스안 풍경. 흑인과 백인이 앉을 수 있는 의자가 달랐다.

‘자연스럽다’라는 말은 전통이라는 뜻 외에도 자연의 이치에 맞는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과연 인간이 육식을 하는 것이 자연의 이치일까? 인간의 신체구조를 보면 오히려 채식을 하는 것이 자연의 이치에 맞는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창자가 길다든지, 송곳니수가 적다든지 하는 것이 그 이유이다. 하워드 리먼은 『나는 왜 채식주의자가 되었는가?』에서 육식동물은 썩기 쉬운 살코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소화계가 짧고, 타액과 위액에도 살과 뼈를 소화시키는 데 필요한 성분이 많으며, 긴 송곳니와 강한 턱까지 갖추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인간은 소화계가 길고, 긴 송곳니 대신 곡물을 빻아 소화를 잘 시킬 수 있도록 어금니가 발달해 있으며, 타액에도 곡물을 잘 소화시킬 수 있는 성분이 들어 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인간의 몸도 원래는 육식에 맞았지만 오래도록 잡식을 하는 바람에 변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니 말 이다. 그렇다면 리먼의 주장과 반대로, 사람이 고기를 먹는 것이 자연의 이치라고 일단 인정해보자. 자연의 이치라고 해서 윤리적이라는 결론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사실 우리말에서는 ‘자연스럽다’는 말이 ‘좋다’라는 가치를 함께 담고 있다. 회도 자연산이 더 비싸고, 논란이 되었던 말이지만 미인도 자연 미인을 더 높이 평가한다. 그렇다면 자연스러운 것이라면 다 옳은가?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사람은 장애가 자연스러운 것이므로 수술을 하지 않는 것이 옳은가? 피임은 자연스런 행동이 아니므로 해서는 안 되는가? 여자가 1년에 아이를 한 명 낳는 것은 자연스럽고 자연의 이치에도 맞는 일이므로, 모든 여자는 1년에 한 명씩 아이를 낳아야 하는가? 어떤 것이 자연스럽다는 것과 그것이 옳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인간도 동물의 하나이므로 인간이 동물을 잡아먹는 것은 자연의 이치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거기서 그 행동이 옳다는 결론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주장을 옹호하기 위해 서로 상반되는 자연의 이치를 각자의 근거로 내세운다. 예를 들어 동성애를 비윤리적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동성애가 자연의 이치에 어긋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반대로 동성애를 옹호하는 쪽에서는 동성애 역시 선천적이고 자연스런 감정이기 때문에 비난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육식 논쟁도 마찬가지이다. 육식을 옹호하는 쪽에서는 인간이 고기를 먹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것을 근거로 들고, 반대하는 쪽에서는 하워드 리먼처럼 인간이 고기를 먹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는 것을 근거로 든다. 이런 식으로 동성애나 육식의 문제를 자연스러운가 아닌가의 문제로 돌리게 되면 윤리학자는 할 일이 없게 된다. 과학자들에게 모든 것을 맡기면 될 테니까. 그러나 유대인 학살에서 열등한 유전자를 근거로 내세운 것이야말로 과학이었다.



img_book_bot.jpg

철학자의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진 이유 최훈 저 | 사월의책
『철학자의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진 이유』는 채식주의, 정확하게 말해서 채식의 윤리적 측면을 다루고 있는 책이다. 고기를 먹지 않는 식습관, 즉 ‘채식’이 도대체 왜 윤리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을까? 현직 철학교수인 저자는 이 질문을 심각한 철학적 난제로 다루는 대신, 독자로 하여금 웃음을 참을 수 없게 하는 자신의 체험담에서 시작하여 채식의 윤리적 의미를 친절하게 이끌어낸다.

 



채식과 관련된 도서

[ 채식의 유혹 ]
[ 존 로빈스의 음식혁명 ]
[ 육식의 종말 ]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최훈

강원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선임연구원, 세종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쳐 호주 멜버른대학교, 캐나다 위니펙대학교, 미국 마이애미대학교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현재 강원대 인문사회과학대학 교양과정에서 가르치고 있다.
전공분야인 논리학, 과학철학, 윤리학 등 철학의 응용 분야에서 왕성한 연구 활동과 함께, 철학이 얼마나 재미있고 유익한 것인지를 사람들에게 알리는 데 큰 관심을 가지고 대중적 눈높이에 맞는 철학서 집필에 꾸준히 힘쓰고 있다. 그런 결과물로 논리ㆍ논술 분야의 대표적 스테디셀러로 꼽히는 『논리는 나의 힘』(2003)을 비롯하여 『데카르트 & 버클리: 세상에 믿을 놈 하나 없다』 『벤담 & 싱어: 매사에 공평하라』 『라플라스의 악마, 철학을 묻다』 『변호사 논증법』 『좋은 논증을 위한 오류 이론 연구』 등을 펴냈고, 청소년 교양도서로 『생각을 발견하는 토론학교, 철학』 『나는 합리적인 사람』 등을 썼다.

오늘의 책

우리가 서로의 구원이 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끝이 어디인지 가늠하기 어려운, 나아가는 이야기가 있다. 천선란의 이 소설집처럼. SF의 경계를 뛰어넘어 천선란의 다정한 세계관이 무한하게 확장되었음을 확인하게 하는 신작. 세계가 멸망하더라도 “마음이 시키”는 대로 가다 보면, 끝내 누군가의 구원이 될 것이라는 희망이 넘실거린다.

글쟁이 유홍준, 인생을 말하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저자 유홍준의 산문집. 대한민국 대표 작가로서의 글쓰기 비법과 함께, 복잡한 세상사 속 재치와 지성을 잃지 않고 살아간 그가 살아온 인생이야기를 전한다. 이 시대와 호흡한 지식인이 말하는, 예술과 시대와 인간에 대한 글들을 빼곡히 담은 아름다운 ‘잡문’에 빠져들 시간이다.

맥 바넷 x 시드니 스미스의 크리스마스 이야기

우리 시대 젊은 그림책 거장 두 사람이 함께 만든 따뜻한 크리스마스 이야기. 모두에게 선물을 주느라 정작 크리스마스를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산타 할아버지를 위해 북극 친구들은 특별한 크리스마스 계획을 세운다. 산타 할아버지가 맞이할 마법 같은 첫 크리스마스를 함께 만나보자.

우리는 모두 잘못된 믿음을 갖고 있다

행동경제학자 댄 애리얼리의 신작. 거짓 정보와 잘못된 믿음이 지닌 힘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왜 가짜 뉴스에 빠져드는지 분석한다. 또한, 잘못된 믿음에서 비롯되는 사회의 양극화를 극복하며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넘쳐나는 정보 속 우리가 믿는 것들은 과연 진실일까?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