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그렇게 살아왔는가,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창비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펴내 각 분야 전문가 32명이 2년간 공들여 만들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역사를 생활문화로 다룬 책은 처음이 아닌가 싶다. 특히 동아시아 전체로 시각을 넓혀 시대상을 살피려고 노력했다.
기획부터 집필까지 3년의 시간이 걸린 『한국현대 생활문화사』가 『창작과비평』 창간 50주년 기획으로 출간됐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10년 단위 4권의 책으로 구성된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시리즈는 정치적 격변에 중점을 뒀던 한국현대사를 탈피, 동시대인의 삶에 영향을 끼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요인을 주목했다. 생활문화 분야부터 역사학계의 주류 분야까지 다양한 각 분야 32명의 필진이 참여, 새로운 관점의 한국현대사 교양서를 탄생시켰다.
『한국현대 생활문화사』시리즈는 한국뿐만 아니라 북한 생활문화의 주요한 변화상도 2,3개 장들로 비중 있게 다뤘다. 또 동시대 중국과 일본을 들여다볼 수 있는 ‘그때 동아시아는?’를 통해 비교사적인 맥락으로 생활문화사를 파악했다. 1950년대는 ‘‘삐라 줍고 댄스홀 가고’, 1960년대는 ‘근대화와 군대화’, 1970년대는 ‘새마을운동과 미니스커트’, 1980년대는 ‘스포츠공화국과 양념통닭’이라는 부제가 각각 붙었다.
지난 8월 30일, 서울 중구 정동에서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기획위원으로 참여한 김종엽 한신대 사회학과, 허은 고려대 한국사학과, 홍석률 성신여대 사학과 교수가 자리에 함께했다.
(왼쪽부터) 홍석률 성신여대 사학과 교수, 김종엽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 허은 고려대 사학과 교수
각 분야 전문가 32명이 2년간 공들여 집필
『한국현대 생활문화사』가 기획된 배경이 궁금하다.
김종엽 2011년 가을쯤, 홍석율 교수와 이야기를 처음 나눴고, 2013년 가을에 다섯 명의 기획의원과 구체적인 논의를 했다. 각자 전문성이 있는 시대를 집필하기로 했고, 필자를 선정했다. 역사문제가 끊임없이 논쟁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생활문화에 집중해 한국현대사를 조망해보는 작업을 하기로 했다. 근현대사를 본격적으로 연구한 역사학자들이 많지 않다. 1980년대를 쓴 필진 중에 사회학자들이 많다.
허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역사를 생활문화로 다룬 책은 처음이 아닌가 싶다. 특히 동아시아 전체로 시각을 넓혀 시대상을 살피려고 노력했다. 구조적인 접근을 벗어나 우리의 생활사가 역사 속에 어떤 맥락을 갖고 있는지에 주목했다. 독자들이 책을 읽으면 알게 되겠지만, 우리가 어떻게 살아왔는가가 아니라 ‘왜 그렇게 살아왔는가’에 초점을 두고 책을 만들었다.
필진이 모두 32명이다. 함께 작업하기가 힘들었을 텐데.
홍석률 한 권에 이렇게 많은 필자가 참여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많은 분이 흔쾌히 원고를 써주셨는데, 이 책을 내고자 하는 취지에 대한 공감이 있지 않았나 싶다. 필진을 보면 역사학자가 절대 다수가 아니다. 정치학자, 사회학자, 지리학자, 문화연구자들도 많다. 다양한 학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한국현대사를 복합적인 측면으로 이해해보고자 했다. 역사란 자기 주변을 성찰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동아시아의 변화를 함께 주목한 이유이기도 하다.
집필 중 어려운 점이 있었다면?
김종엽 1980년대를 쓰는 게 가장 어려웠다. 가장 가까운 현대사인데도 근거 자료가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생활감각으로는 잘 알고 있지만, 연구는 가장 덜 되어 있으니까 힘든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1980년대 원고가 가장 늦게 취합됐다. 당대적 감수성을 많이 갖고 있는 게 책을 쓰는 데는 좋지 않다.
독자들이 특히 재밌게 읽을 만한 내용을 소개한다면.
홍석률 북한 이야기를 흥미 있게 보시지 않을까 싶다.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50년대』를 쓴 김성보 연세대 사학과 교수의 글 ‘농업협동화의 물결’을 보면, 북한 민속학자들이 농촌을 돌아다니면서 농민들의 생활을 관찰하며 글을 쓰는 내용이 나온다. 10년 이상 자기 연구를 해온 학자 분들이 필진으로 많이 참여했기 때문에 새로 발굴된 자료도 많이 소개됐다.
김종엽 책을 편집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이야기들이 많았다.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80년대』를 보면 ‘보천보전자악단과 북한의 신세대’라는 글이 실렸다. 북한에 전작악단이 있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됐는데, 우리 대중음악 연구자들이 남북한 문화를 아울러 서술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었다.
기대하는 독자 층이 있다면?
허은 젊은 세대뿐 아니라 기성 세대들도 호기심을 갖고 보면 좋을 것 같다. 자신이 살아온 역사를 고민하고 그 속에서 가치관, 지향점을 발견한다면 지금 이 사회의 방향성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홍석률 기존의 생활문화사와 달리 도시빈민이나 전쟁 미망인, 여성노동자 등 그간 역사에서 주목받지 못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양하게 다뤘다. 기존 학술서의 논문 투를 피했기 때문에 다양한 독자들이 재밌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동시대를 경험한 40대 이상의 독자들은 훨씬 더 흥미롭게 책을 볼 것 같다.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세트 김학재 등저/김성보,김종엽,이혜령,허은,홍석률 기획 | 창비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4권의 책으로 펴내는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시리즈는 정치적 격변과 혼란 속에서도 삶을 이어온 우리들의 부모님, 삼촌ㆍ이모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1950년대부터 1980대까지의 당대를 직접 겪은 이들의 역사가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관련태그: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창비, 창작과 비평, 한국 현대사 교양서
14,850원(10% + 1%)
16,200원(10% + 1%)
16,200원(10% + 1%)
14,850원(10% + 1%)
59,400원(10% + 1%)
14,250원(5%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