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 놀이터

[책]판단력비판 - 임마누엘 칸트

글쓴이: minging5님의 블로그 | 2014.06.09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순수이성비판에서 사변이성(=지성)이 경험의 한계를 넘지 않도록 규정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과학법칙이 적용되는 합법칙성으로서의 감성계

자유개념에 기초한 도덕법칙이 적용되는 초감성계가 분리되어 버렸으므로

이 둘을 연결시키는 원리를 밝히는 것이 판단력 비판이다.

 

 

그림으로 보자 (순수이성, 실천이성, 판단력의 관계이다)



 

감관에서 받아들이는 것(=욕구능력)주관적 통찰(=쾌,불쾌의 감정)을 통해 개념으로 인지(=인식능력)되는데 

이때 지성으로 밝혀내지 못한 우연적 대상들을 하나의 통일된 법칙에서 사유하기 위해 판단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쾌의 감정과 합목적성 원리의 결합방식에 따라  감성적 표상과 논리적 표상이 생겨나므로,

판단력비판은 ‘감성적(미감적) 판단력의 비판’과 ‘목적론적 판단력의 비판’으로 구분된다.

 

<주요 용어>





- 지성 : 개념, 규칙의 능력

- 이성 : 논리적 추리능력, 도덕적 실천능력

- 판단력 : 현상을 법칙(규칙, 보편)에 적용하는 능력

 

- 취미 : 아름다운 것을 감지할때의 감정 상태

- 숭고 : 감관이 예상못한 탁월한 능력을 감지할 때의 감정 상태

 

- 관심 :어떤 대상의 현존의 표상과 결합되어 있는 만족

- 무관심: 대상의 현존으로부터 비롯하는 욕구의 만족과 무관함

 

- 규정적 판단 : 객관적으로 타당 (자연의 합법칙성에 대한 판단에서 사용)

- 반성적 판단 : 개별적인 것에서 공통적인것을 끌어내는 것,주관적으로타당 

                       (자연의 합목적성에 대한 판단에서 사용)

 

- 합목적성 : 개념과 개체의 인과성

 

여기서 판단력 비판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합목적성"에 대해 좀더 짚고가자. 

 

합목적성은 "어떤 것의 현존재가 그 사물이 표상을 전제하는 것처럼 보이는것" 으로

하나의 개체에 관한 개념이 이 개체의 현실성의 근거(존재의 근거)를 포함하며 이 근거에 따라서만 가능한 사물들의 성질과 합치하는 것, 

다시말해 개체의 목적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개체의 형상에 있어서 개념과의 인과성에 따른 타당성이다.

 

?? 머라구 ?????

 

흠......그럼. 수학의 함수(y=f(x))를 떠올리면 좀 이해가 쉽다. 하핫 ~















  

 합목적성 

 x는 자체로 존재하지만 x를 알수는 없다

 개체의 개념과 목적(x)은 고려하지 않음

 다만 y는 x의 값에 따라 규칙적으로 변한다.

 개체의 형상(y)와 개념(x)과의 인과성에 따른 타당성

 그러므로 y를 가정함으로써만 x를 알수 있다.

 반성적 판단((현상(y)에서 공통성(x)을 이끌어내는 추론)으로 가능

 

이제부터 본격적인 판단력 비판이다!



● 미감적 판단력(=감성적 판단력)


1. 취미판단 - 상상력과 지성을 일치시키는 판단이다

 

1.1 취미의 분석론

아름다움을 판단할때에는 

나에게 이익이 되고 안되고를 떠나서 아름다운것을 인정하되 모든 사람들이 이에 동의해야 한다.

(그러나 동의를 강요할수는 없다)

 

다시 말해, 

목적 없이(=무관심성=관조) 순수한 감성적 판단(=주관적)이지만

모든 판단자에 대해 동일하고(=보편적)

감성적 판단과 만족과의 관계를 설명할수 있어야(=필연적, 합목적적) 한다.

 

1.2 취미의 연역론

어떻게 해서 감성적 판단은 필연성을 요구할 수 있는가? 를 풀기 위하여 아래 두가지 관점으로 따져볼수 있는데,

이 둘은 이율배반적이다.


- 인식론적 논증 : 감성적 판단이 인식판단이나 도덕판단과는 완전히 구별되는 독자적이고 자율적인 판단이므로 

                         미학은 자율적인 학문이다.

- 윤리론적 논증 : 감성적 판단이 도덕성에 의해 정초되는 비자립적이고 타율적인 판단이므로  

                         미학이 자율적 학문이 아니다

 

1.3 취미의 변증론

판단력의 감성적 사용에 관한 이율배반과 그 해결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감성적 판단에 개념 또는 이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입하는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어떠한 방식으로? 천재를 통해서..

 

앞에서 보았듯이

이성개념(이념)은 직관을 통해 표상되지 못하므로 이성 개념의 간접적 감성화는 반성적 판단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징은 직관이기 때문에 우리의 감성계에 내재하면서도, 이념을 표상하는 것이므로 감성계를 초월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상징은 내재적인 것을 초월하게 만듬과 동시에 이념적이고 초월적인 것을 내재적인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며,

이것을 현실에서 실현시키는 능력, 그것이 곧 천재이다.

그리고 이렇게 천재에 의해서 표현되는 것이 예술이다.

 

 

2. 숭고판단 - 상상력과 이성을 일치시키는 판단이다.

대상이 크기와 능력에 있어서 생각지 못하게 거대하므로 존경심을 갖게 되는 현상

 

감각적 척도(=상상력)이성에 의한 평가(=절대적 총체성을 현시)에 있어서 부적합함을 지각하면서

불쾌함을 일으키게 되고, 이는 초감성적 사명(=도덕성)에 대한 감정을 일깨워 합목적적 과정이 일어나고 

그래서 감정은 쾌로 전환된다.

 

다만 자연물 자체가 숭고한 것이 아니라 

자연물은 마음의 숭고성을 현시하기 에 적합한 대상일 뿐이다.

 

취미판단의 보편타당성을 위해서 공통감이 전제된 것과 유사하게 

숭고판단의 보편타당성을 위해서는 도덕감이 전제된다.

 

 

● 목적론적 판단력

 

1 자연목적

자연이 목적으로 존재할려면 스스로 존립가능(=필연성)해야 하며, 전체에 대한 관계(= 인과성)도 이루어 져야 한다.

 (ex. 혈관이 혈관으로 존립할려면 신체의 나머지 부분과 항상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만 가능하다)  

 즉, 유기체만이 합목적적이다.

 

 - :유기질(스스로 생성가능한 물질)을 생성하거나, 그것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생명을 유지하는 것(인과적 관계를 가지는 것). 

             즉, 모든 생명체

 

2. 목적론적 판단의 이율배반

규정적 판단력은 개별적인 판단이므로 이율배반이 없으나

반성적 판단력은 관계에 의한 판단이므로 때에따라 이율배반이 생긴다.

 

다시말해 자연산물은 필연성(=개념)인과성(=관계)을 가지므로

규정적 판단을 통한 필연성의 입증과 더불어

반성적 판단을 통한 인과성의 설명이 필요하다.

 

그런데 인과성을 가진다는 것은 목적이 있음을 전제하는 것이고,

이 목적은 우연성(선험적으로 입증하지 못한 개념)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우연성이 필연성으로 될려면 도덕법칙에 의한 당위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 도덕법칙의 당위성은 실현가능해야 하므로 실천이성비판에서 다루었듯이 

실존을 증명할 초월적 존재자(신)가 필요하며(즉, 신은 이성의 "실천적 사용"의 관점에서 필요하다.)

이 초월적 존재자 역시 도덕성을 가져야 한다.

 

즉, 신이 존재하면 이율배반은 사라진다.

 

● 정리

인간자율성을 가지므로 목적으로 존재한다고 했다.(실천이성비판에서)

 

다만 이 자율성은 도덕법칙에 합당한 의지를 말하므로

결국 인간은 도덕적인 주체일때 목적으로 존재한다.

 

이제 실천이성비판에서 품었던 궁금증이 풀린다.

 

목적자체인 인간이 수단으로 존재하는것이 허용되는 경우는 

선, 정의로움, 숭고함과 같은 "도덕적인 목적을 위한 경우"일때다.

 

---------------------------------------------------------------------------------

<참고자료>

- 판단력비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 연구소 (첨부파일)

-

 

<관련 글>

-

-

---------------------------------------------------------------------------------

 

드디어 칸트비판 3종(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 끝났다. 
올해안으로만 읽어야지 했는데 벌써 ~ 으하하!

그냥 끝내기 좀 아쉬우니 한부분 옮겨본다. 
숭고함의 개념을 설명하는 부분인데..




 모든 용감한 방식의 격정 - 곧, 어떠한 저항이라도 이겨내려는 우리의 힘에 대한 의식을 환기시키는-은 미감적으로 숭고하다. 예컨대 분노가 그러하고, 심지어는 절망이 그러하다 .

 그러나 유약한 방식의 격정-저항하려는 노력 자체를 불쾌의대상으로 삼는 -은 아무런 고상한 것도 자체로는 가지고 있지 않으나, 기질의 아름다움에는 넣을 수 있다.
...중략...
이른바 고상한 마음씨를 가지고 시시덕거리고, 그러나 실제로는 심정을 메마르게 하고 엄격한 의무의 준칙에 대해 둔감하게 만들며, 우리의 인격 안의 인간성의 존엄과 사람들의 권리 - 이것은 그들의 행복과는 전혀 다른 어떤 것이다-에 대한 모든 존경과 도대체가 모든 확고한 원칙들을 무력하게 만드는 소설들, 눈물 자아내는 연극들, 진부한 윤리적 훈계들, 또한 우리의 온갖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우리에게 아직 남아있는 힘들을 경향성들을 이겨내기 위해 써보겠다는 굳건안 결의 대신에, 우리안의 악에 저항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모든 신뢰를 포기시키는, 비굴하고도 저열한 은총의 갈구와 아첨을 권장하는 종교적 설교도, 자기멸시와 흐느껴 우는 가장된 회개와 한낱 수동적인 마음자세만이 최고 존재자에게 적의한 것일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라고 보는 그릇된 겸손, 이런 것들은 심성의 아름다움에 넣을 수 있을 것과도 화합되지 않지만, 심성의 숭고함에 넣을수 있을것과는 더욱 화합되지 않는다.

흡-  멋지잖아~!


칸트~ 너가..... 좋아질려구해 ~!!


 * 이미지출처 :google.com 

전체목록보기


PYCHYESWEB03